번역

Panic! At The Disco - Death Of A Bachelor 한글 번역본

A군 2021. 9. 1. 22:28

Amazon.com

공식 유튜브 동영상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R03cqGg40GU

 

Death Of A Bachelor

 

Panic! At The Disco - Death Of A Bachelor

 

2016

 

Q. How would you describe the change between previous album, 'Too Weird To Live, Too Rare To Die' and 'Death Of A Bachelor' in five words?

A. Oh, man! Oh, jeez. 'Every song is completely different.'

https://www.coupdemainmagazine.com/interviews/interview-panic-discos-brendon-urie-his-new-album-death-bachelor

 

Interview: Panic! At The Disco's Brendon Urie on his new album, 'Death Of A Bachelor'.

Hot on the heels of his new album release, we had a chat with Brendon Urie of Panic! At The Disco.

www.coupdemainmagazine.com

Q. 지난 앨범 'Too Weird To Live, Too Rare To DIE'와 이번 앨범 'Death Of A Bachelor'의 차이(변화)를 다섯 단어로 설명해본다면?

A. 오, 맙소사! 오,어렵네. '모든 노래가 정말 완벽하게 다르다.'

 

 

이번 노래는 최근 겨울왕국2의 OST인 Into the Unknown으로 큰 주목을 받기도 했던 패닉! 앳 더 디스코의 첫 솔로(?)곡을 가지고 왔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p-CVYGEsjg

 

사실 겨울왕국으로 인지도를 올렸다기에는 이전에도 상당히 유명했던 밴드이지만, 타국에 비해 대한민국에서는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기도 합니다. 원래는 EMO 음악을 하는 밴드로 시작했으나 구성원들의 탈퇴가 거듭되면서 지금은 정말 특이하게도 브랜든 유리(보컬) 혼자 밴드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게 특징이라면 특징이죠(예전에 '유일하게 빌보드 밴드 부문 차트에 오른 솔로 아티스트'라는 외국 밈을 봤던 게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습니다). 저는 이름만 대충 알고 있다가 테일러 스위프트의 'ME!'라는 노래로 처음 목소리를 듣게 되었는데, 음색이나 발성이 시원시원하고 듣기 좋아서 뒤늦게 앨범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저 Into the Unkown 동영상 보시면 아시겠지만 보컬이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오늘 준비한 'Death Of A Bachelor'은 위 인터뷰에서도 나와 있듯이 브랜든 유리 혼자 제작한 첫 앨범의 타이틀입니다.처음에는 제목을 읽고 상당히 비극적인 내용이겠다 막연하게 유추했었는데(솔직히 제목만 들었을 때는 초기 곡 중 하나일 줄 알았습니다) 들어보니 전혀 아니어서 꽤 놀랐습니다. 어쨌든 개인적으로 가사 내용이나 보컬 모두 매력적인 곡이라고 생각해 가져와 봤으니, 한 번쯤은 원곡을 들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형광펜으로 표시한 부분들은 본문 밑에 추가 설명을 첨부했습니다.참고해주세요!

 

*의/오역 주의

 

Do I look lonely

 

내가 외로워 보이나요

 

I see the shadows on my face

 

안색이 좀 어두워진 건 알겠어요

 

People have told me

 

요즘 사람들이 말해요

 

I don't look the same

 

내가 좀 달라보인다고


Maybe I lost weight

 

아마 살이 좀 빠졌을 수도 있어요


I'm playing hooky

 

꾀를 좀 부려봤어요

 

With the best of the best

 

최선을 다해서


pull my heart out my chest

 

가슴에서 심장을 꺼내 놓아요

 

So that you can see it too

 

당신도 볼 수 있게끔


I'm walking the long road

 

난 지금 이 긴 길을 걷고 있어요


Watching the sky fall

 

하늘이 무너지는 걸 바라보면서

 

The lace in your dress

 

당신 드레스의 레이스가

 

tangles my neck

 

내 목을 조여와요

 

How do I live

 

어떻게 살죠?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Letting the water fall

 

그냥 흘러가는 대로 둬요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Seems so fitting for

 

참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Happily ever after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라는 결말이랑

 

How could I ask for more

 

여기서 뭘 더 바랄 수 있겠어요

 

A lifetime of laughter

 

웃음이 가득한 한평생


At the expense of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을 대가로 얻었죠

 

I'm cutting my mind off

 

생각을 좀 끊어내려고 해요


It feels like my heart is going to burst

 

심장이 터질 것만 같네요


Alone at a table for two

 

두 명을 위한 테이블에 혼자 앉았어요

 

And I just wanna be served

 

그냥 주문이나 받았으면 좋겠는데

 

And when you think of me

 

당신은 나를 떠올릴 때


Am I the best you've ever had

 

만나본 사람 중 제일 괜찮은 사람이라 생각하나요


Share one more drink with me

 

나와 한 잔만 더 마셔요


Smile even though you're sad

 

그리고 슬프더라도 웃어요


I'm walking the long road

 

난 지금 이 긴 길을 걷고 있어요


Watching the sky fall

 

하늘이 무너지는 걸 바라보면서

 

The lace in your dress

 

당신 드레스의 레이스가


tangles my neck

 

내 목을 조여와요


How do I live

 

어떻게 살죠?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Letting the water fall

 

그냥 흘러가는 대로 둬요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Seems so fitting for

 

참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Happily ever after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라는 결말이랑


How could I ask for more

 

여기서 뭘 더 바랄 수 있겠어요


A lifetime of laughter

 

웃음이 가득한 한평생


At the expense of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을 대가로 얻었죠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Letting the water fall

 

그냥 흘러가는 대로 둬요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


O o oh Seems so fitting for

 

참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Happily ever after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라는 결말이랑

 

How could I ask for more

 

여기서 뭘 더 바랄 수 있겠어요


A lifetime of laughter

 

웃음이 가득한 한평생

 

At the expense of the death of a bachelor

 

어느 독신의 죽음을 대가로 얻었죠

 

[추가 설명]

 

참고 - 밑의 내용 중 많은 부분을 https://www.popsongprofessor.com/blog/2015/12/28/what-does-death-of-a-bachelor-by-panic-at-the-disco-mean

에서 차용했습니다. 오피셜한 인터뷰는 아니지만, 아무래도 원어민 입장에서 노래의 맥락을 해석한 자료이다 보니 본래의 의미에 더 가까울 것 같아 참고했습니다. 노래 가사를 하나하나 번역했다기보단 내용을 하나의 스토리로 엮어 풀어놓은 내용이니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통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What does "Death of a Bachelor" by Panic! at the Disco mean? — The Pop Song Professor

On Christmas Eve, Panic! at the Disco released the titular track for its new album Death of a Bachelor.  The album ( as Urie puts it ) is a beautiful mix of Queen and Frank Sinatra. And this song likewise mirrors that mix. It feels like a crazy, no-holds-

www.popsongprofessor.com

 

1. shadows on my face

직역하면 '얼굴에 그늘이 졌다'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shadow는 그림자라는 뜻인데요, 조금 더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안색'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2. playing hooky

처음 들어보는 표현이라 검색해보니, '땡땡이 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숙어라고 합니다. 원래는 slang(속어)으로 쓰였으나 고착화되어 공식 용어가 되었고,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다고 하네요. (출처 - urban dictionary) 어떻게 번역할지 고민하다, 리서치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직면하는 대신 회피하려 '꾀를 부렸다' 정도로 해석했습니다.

 

3. pull my heart out my chest

저는 직역을 해서 '심장을 가슴에서 꺼냈다'로 썼지만, 좀 더 설명을 하자면 '감정을 드러내다'라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화자가 현재 무슨 감정을 느끼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심장을 몸 밖으로 꺼냈다고 하면 더 수월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long road

흔히 버진 로드(virgin road)라고 부르는, 결혼식장의 길을 의미합니다. 보통 'walking down the aisle(road)'로 많이 쓰이고, 결혼 그 자체나 결혼하는 과정을 상징합니다. (예시로 Ariana Grande의 Thank U, Next라는 노래 가사를 보시면 'One day I'll walk down the aisle, holding hands with my mama / 언젠간 나도 aisle(road)을 걷겠지, 엄마 손을 잡고' 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쓰잘데기 없는 설명인데 그냥 갑자기 생각이 나네요...좋아하는 노래입니다) 아래는 버진 로드 사진입니다. 

 

출처 - 웨딩21뉴스

5. I live

처음에는 위의 가사와 맥락을 맞추려고 '어떻게 살아남죠' 라고 해석했습니다. 근데 다시 훑어보니, 저 'I live'라는 표현이 중의적으로 들린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이 노래가 '결혼' 혹은 '독신 인생의 끝'을 주제로 하는 만큼, 막연하게 '살아남다'라고 해석하기보다는 앞으로 변할 인생에 대한 걱정도 드러낼 수 있도록 '어떻게 살죠'로 하는게 나을 것 같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어떻게 살아남죠'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죠'를 둘 다 함의하고 있는 셈입니다.

 

6. The death of a bachelor

노래 제목이기도 한데, 번역할 때 고민을 많이 한 부분입니다. 우선 '어느' 라는 표현을 붙인 이유는 순전히 제 생각입니다. 같은 노래를 번역하신 분들은 대체로 '독신남'이나 '독신'이라는 표현을 쓰셨는데, '독신의 죽음'이라 하기에는 원제가 갖는, 화자의 인생에 부여하는 의미가 (느낌적인 느낌으로다가) 좀 죽는 것 같고, '독신남'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대상의 성별을 한정짓는 것 같아 약간 희곡 제목처럼 느껴지는 '어느 독신의 죽음'을 선택했습니다. (사실 bachelor은 남성을 지칭하는 용어이기는 한데, 번역본을 읽는 분들이 성별 관계 없이 이입하실 수 있도록 하고 싶어서 '남'은 붙이지 않기로 햇습니다.) 절대 다른 버전이 이상하거나 잘못됐다는 게 아니라, 저 나름대로 최대한 그럴듯한 결론을 떠올리려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어쨌든 번역도 단어 선택 과정에서 주관이 아예 배제될 수는 없으니까요. (지난 포스팅과 상당히 모순되는 발언이네요)

또 bachelor은 여기서 '독신'으로 번역했지만, '총각'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한국에서 '총각 파티'라고 부르는 것도 영어권에서는 'bachelor party'라고 하니까요. 어쨌든 미혼의 남성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종합해보면 'the death of a bachelor'은 '총각의 죽음'이나 '미혼 남성의 죽음'이라고 볼 수 있고, 다른 말로 '결혼'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7. Happily ever after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동화에서 흔하게 쓰이는 결말이죠. 특히 왕자와 공주, 혹은 연인이 등장하는 러브스토리에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해피엔딩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표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8. At the expense of the death of a bachelor

노래 리듬이나 공식 가사를 보면 At the expense of / the death of a bachelor이 자연스럽긴 한데, 이 둘을 떨어뜨려 놓으면 도저히 번역을 못할 것 같아서 한 문장으로 두었습니다. 'At the expense of ~'은 '~을 대가로'를 의미하므로, 번역 그대로 이전 가사와 연결해서 '어느 독신의 죽음을 대가로 영원한 웃음(웃음 가득한 삶)을 얻었다'로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9. A lifetime of laughter

이 부분이 왜 추가 설명이 필요한지 의아하게 느끼실 수도 있는데, 'lifetime'이라는 단어가 팜송에 자주 쓰여서 언급을 하면 좋겠다 싶었습니다. Justin Bieber 노래도 있고, 가사나 앨범 제목으로도 많이 쓰이는 단어죠. 저는 '한평생'으로 번역했는데, 'once in a lifetime' 하면 '평생에 한 번', 이 노래처럼 'lifetime of -' 하면 '-가득한/-의 삶'을 뜻합니다. 정리하면 lifetime은 평생/삶/인생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10. cutting my mind of

이 부분도 고민을 많이 했는데, 직역하면 '마음을 잘라내다'지만 저는 '생각의 흐름을 끊어내다'로 이해해서 '생각을 끊어내다'라고 번역했습니다. 위의 링크에서도 자꾸 드는 걱정 등의 잡생각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내용이라고 하니, 그대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1. Alone at a table for two직역하면 제가 번역한 게 맞는데, 위 페이지를 읽어보면 독신의 인생을 '2인석에 혼자 앉은 상황'에 비유했다고 하네요. 물론 작사가인 브랜든 유리의 오피셜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인상적이기도 하고 배경으로 알아두면 이해하시기 더 원활할 것 같아서 첨부합니다.

 

12. And I just wanna be served'be served'은 '대접을 받다'로 직역할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이 2인용 테이블에 혼자 앉은 상황이니, 'just'의 뜻을 살려 '주문이나 받았으면 좋겠다'로 번역했습니다.

 

 

보통 번역을 다 마치면 한 번 쭉 읽어보는데, 오늘은 역대급으로 가사 사이사이가 끊기는 느낌이네요. 노래 자체의 느낌을 제대로 살리지 못해 정말 죄송할 따름입니다. 어쨌든 저는 최선을 다했으니 혹여라도 제 번역이 많이 부족하다 싶으시면 다른 분들 번역도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몰라 워너뮤직코리아에서 올린 공식 한국어 가사 번역 뮤직비디오를 첨부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8dWBRYcKas